왜 금융 용어를 알아야 할까요?
재테크를 시작하면서 가장 큰 벽 중 하나는 **낯선 용어들**입니다. '복리', 'IRP', 'ETF', '분산 투자' 같은 말이 어렵게 느껴지면, 행동이 막히고 결국 시작을 못 하게 되죠.
이 글에서는 **초보자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본 금융 용어 10가지**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1. 이자율(금리, Interest Rate)
원금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는 돈의 비율. 예: 예금 금리가 3%면, 100만 원 예치 시 1년 뒤 3만 원 이자 발생.
2. 복리(Compound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 원금뿐 아니라 이전 이자도 다시 이자 계산 대상이 됨.
💡 복리는 장기 투자의 핵심 원리입니다.
3. 분산 투자(Diversification)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해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 예: 주식, 채권, ETF, 금 등에 고르게 투자.
4. ETF(Exchange Traded Fund)
여러 자산에 분산된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상품. 간편하고 수수료가 낮아 초보 투자자에게 인기 있음.
5.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줄임말. 부동산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구조로, 소액으로도 건물 수익에 참여 가능.
6.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 노후 준비를 위해 세제 혜택을 받으며 자발적으로 적립 가능한 금융 상품.
7. CPI(소비자물가지수)
물가의 전반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CPI가 오르면 생활비 부담 증가 → 실질 수익률 감소.
8. 원리금균등 상환
대출 시 원금과 이자를 매달 같은 금액으로 나눠 갚는 방식. 초기에 이자 비중이 높고, 후반에 원금 비중 증가.
9. 예금자 보호 한도
금융기관이 파산하더라도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해주는 금액. 1인당 1금융기관 기준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됨.
10. 채권(Bond)
정부나 기업이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빚 증서’. 만기까지 보유하면 이자를 받으며,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에 속함.
마무리 – 용어를 알면, 흐름이 보입니다
재테크는 용어와 개념을 이해하는 순간 **막연함에서 실행력으로 바뀝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10가지 용어는 앞으로 금융 콘텐츠를 접할 때 반드시 마주치게 될 내용입니다.
하루에 하나씩 복습해보고, 실제 상품 설명이나 뉴스에서 찾아보는 것도 좋은 훈련이 됩니다.
금융 문맹 탈출, 오늘부터 가능합니다!